인물, 피처 기사는 설명기사로 다룬다. '이런 특별한 사람이 있다'고 설명하는 기사이기 때문이다. 구분은 다음 글 참조. 2013/05/14 - [신문 기사 쉽게 쓰는 법] - 내 마음대로 정한 기사의 종류
설명하는 이 사람은 뭔가 특별한 사람이다. 일반인과 다른, 일반인들에게 관심을 끌 만한 인물이다. 그래서 이 사람이 기삿거리가 된 것이다. 기자가 전하려는 주된 요지는 '이런 특별한 사람이 있다'다. 이를 이 블로그에서는 주요지로 부르겠다.
인물, 피처 기사는 어떻게 써야 잘, 그리고 쉽게 쓸 수 있을까. 그동안 이런 기사를 쓸 때 적용한 프로세싱은 이런 것이다.
첫째, 주요지를 찾는다. 주요지는 앞서 말한대로 기삿거리다. 이사람을 취재하게 된 이유다. 이 사람의 특별함이다. '이런 사람이 있다'에서 '이런'에 해당된다.
참고로, 주요지를 찾으면 기사의 절반은 쓴 것이다. 보통은 설정하고 나서 취재를 하지만. 주요지가 기사의 핵심이요. 기사의 뼈대이기 때문이다. 기사는 주요지에 '매달려' 진행된다. 그래야 일관성이 유지된다. 아래 예1에서 주요지는 '떡집을 차려 승승장구하고 있는 30대 농부가 있다'다.
둘째는 기자가 주요지를 처음 들었다고 가정한 후 이 사람에 대해 궁금한 사항을 열거한다. 기자는 궁금한 리스트를 거칠게 만든다. 그 리스트가 기사의 본문에 해당한다.
궁금한 사항이라고 하면 너무 막연하다. 그래서 가이드를 만들기로 했다. 그것이 '육하원칙'이다. 왜냐 하면 대부분의 기사가 육하원칙에 따라 이뤄져 있기때문이다. 따라서 육하원칙에 해당되는 사항을 물어보면 되는 것이다.
예1에서 '떡집을 차려 승승장구하고 있는 30대 농부가 있다'고 했다. 궁금한 리스트를 생각해보자. 그게 누구인지, 얼마나 승승장구하는지, 어떻게 승승장구를 하게 됐는지, 왜 승승장구하는 등이 될 수 있다. 이것이 본문 내용의 기본이다. 여기에 목표나 꿈, 비전 등이 추가된다.
같은 맥락이지만 위 프로세싱을 조금 더 구체화했다. '창측회사원'을 부를 수 있게 되면서 더 쉬워졌다. 다음 글도 참조. 2013/04/26 - [신문 기사 쉽게 쓰는 법] - <거침없이 쓸 수 있는 기사작성 비법1>-'이런 행사가 열린다' 기사에 적용
5층 사무실에 두 회사원이 있다고 설정한다. 한 사람은 창 측에 앉았다. 다른 이는 안쪽에 앉았다.
창 측 회사원은 수시로 창밖을 바라본다. 그러다가 뭔가 특별한 이야깃거리를 보면 안 쪽에 앉은 회사원에게 상황을 전한다.
창 측 회사원은 이야기하길 좋아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그가 본 사건을 재미있게 전하고 싶어한다.
창 측 회사원은 첫마디의 중요성을 안다. 안 쪽 회사원에게 던지는 첫 마디가 재미있어야 이야기를 계속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창 측 회사원이 어떤 사건, 사안(팩트)을 보고 첫 마디를 던지면 안쪽에 앉 회사원은 관심을 보일 수도 있고, 안보일 수도 있다. 관심을 보이면 창 측 회사원은 말을 잇는다.
혹은 안쪽 회사원이 적극 질문할 수도 있다. 창 측 회사원은 답변을 한다. (여기서 질문은 주로 육하원칙에 따른다.)
창측 회사원이 창밖에서 벌어진 어떤 사안을 보고 첫 마디를 던지고, 안측 회사원(B)의 반응에 따라 이어지는 이야기, 이것이 곧 기사라고 보면 기사 쓰기가 훨씬 수월하다.
이를 토대로 기사 예1을 분석해보자. 기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충청도 외딴 시골에서 농사를 짓던 30대 농부가 서울 강남 한복판에 떡집을 차려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것이 기사의 주요지다. 이 30대 농부가 외딴 시골에서 농사를 지었었기 때문에 기사거리다. 농부 중에도 부농이 있을수 있다. 부농이 떡집을 차려 승승장구하면 당연히 기사거리가 될 수 없다.
회사원 B가 듣고 뭐가 궁금할까. 여기에서는 얼마나 승승장구하는지가 궁금하다. 다음 문장은 이를 설명한다. (달리 설명하면 동사에 해당하는 내용을 부연설명한 것이다.)
"5년 전 월수입이 100만원도 안 되던 그는 요즘 강남의 부자 고객을 상대로 떡세트를 팔아 매달 300만~400만원의 순수입을 올리고 있다."
위 문장에는 얼마나 승승장구하는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승승장구하는 지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 문장이 왜 승승장구하는지 설명한다.
"과감한 도전 정신과 농사꾼 특유의 근면성이 맞아떨어지면서, 본인의 표현대로 “시골 촌놈이 강남을 꽉 잡은 것”이다."
사실 여기까지가 기사 내용의 요약이다.
다음은 요약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한다. 회사원 B는 3줄을 듣고 도대체 어떤 과정을 통해 사업을 했는데, 이렇게 됐나라고 궁금할 것이기때문이다.
이를 명확하게 구분 지으면 '이 농부가 승승장구 하기까지'가 궁금하다. 이를 일반화시키면-여기에서도 육하원칙이 적용된다- 농부가 어떻게 해서 떡집을 하게 됐는지(왜), 처음에 어떻게 시작했는지, 중간과정은 어땠는지, 그 결과(지금의 승승장구)는 구체적으로 어떤지가 되겠다.
어떤 선배는 인물 박스기사를 쓸때 시제를 감안하라고 설명했다. 첫요약부분은 현재, 그리고 가장 먼 과거로 갔다가 서서히 현재로 와서, 미래(꿈, 비전)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아무튼 이 과정을 조금 정리하면,
먼저 기사 첫머리는 주요지가 나오고, 주요지를 풀어 설명한다. 이어 과정을 쓴다. 과정에서 첫 단추는 why에 상응하고 마지막 단추는 현재의 상태다. 끝으로 미래를 덧붙인다.
풀어 설명한다는 것은 내용의 핵심인 주요지를 말한후 다시 늘려서 쉽게 설명한다? 이런 의미로 쓰면 될까 싶다.
아래 기사를 더 보자. 아래 내용은 기사에서 꼭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굳이 말하면 '들어가기'정도로 본다. 또 기사의 현장감을 살리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볼수도 있다.
“자, 서두릅시다. 저기 1번 스팀기(빻은 쌀을 증기로 쪄서 떡으로 만들어주는 기계) 작업 끝났네요. 떡시루 내리세요. 이 쌀은 제대로 안 씻겼습니다. 한 번 더 헹구세요.”
"4일 오전 6시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떡집 ‘떡시루’. ‘윙~윙~’ 쌀 빻는 기계 소리가 요란한 가운데 사장 이태희(李兌熙·38)씨가 4명의 직원들에게 부지런히 지시를 하고 있었다."
<승승장구 하기까지-계기, 과정>
/과정1(어떻게 해서 떡집을 하게 됐는지)
"원래 농부였던 이 사장은 2000년 12월 9년간 부모님과 함께 했던 농사를 그만두고 고향인 충남 예산에서 서울로 올라왔다. 그는 “세 사람이 4000평 농지에서 온종일 일해도 한 달에 100만원 벌기가 빠듯했다”고 했다. 부모님 역시 “농사는 우리가 맡을 테니 도전해보라”며 격려했다."
"몇 달간의 고민 끝에 그가 고른 사업이 떡집. 부모님이 직접 만드는 쌀, 콩을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데다, 자신의 전공 분야인 농업과 연관성이 높다는 판단에서였다. 창업 장소는 서울, 그것도 강남으로 정했다. 그는 “내가 생각한 ‘100% 우리 농산물로 만든 떡’이란 사업 전략은 소비 여력이 큰 강남 쪽에서 먹혀들 것으로 봤다”고 했다. 시중 떡집에서 주재료인 쌀은 국산을 쓰지만 부재료인 콩·팥·밤·대추 등은 중국산을 쓰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었다."
/과정2(처음엔 어떻게 시작했는지)
"그는 우선 고향 친구가 소개한 서울 반포의 한 떡가게에 종업원으로 취직했다. 매일 ‘새벽 4시 출근, 오후 3시 퇴근’의 힘든 일과가 반복됐다. 새벽마다 70~80㎏씩 쌀을 씻어 불리는 것은 물론, 일과 후 기계에 붙은 떡가루 제거와 미끄러운 바닥 청소까지 생생한 현장 체험이었다."
/과정3(그리고)
"2002년 1월. 고향 땅 일부를 담보로 2000만원을 빌리고 저금한 돈 2000만원을 보태 역삼동에 작은 떡집을 차렸다. 결혼·돌·설 등 명절이나 잔치용 떡 선물세트를 3만~18만원의 다양한 가격대로 준비했다. 홍보·판매·배달까지 모두 혼자 맡아 했다. 떡집 한편에 마련한 간이 침대가 그의 쉼터였다."
<승승장구 한 결과, 성과, 현재 모습>
/과정4(그리고:그 결과로)
"1년여의 고통스런 시간이 지나니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번 맛을 본 손님들의 재주문이 빠르게 증가한 것. 1년 만에 매출이 두 배로 뛰었고 작년 4월 강남의 중심지인 도곡동에 30평 규모로 가게를 확장 이전했다. 요즘 가게 매출은 한 달에 1400만~1500만원. 상경 4년여 만에 서초·강남구에 위치한 200여개 떡집 가운데 중·상위권 규모로 올라섰다. 창업하면서 빌렸던 은행 융자는 작년 말 다 갚았다."
/과정5(그리고:최근엔)
"하지만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명절을 제외하곤 매일 새벽 5시 출근, 오후 8~9시 퇴근 일과를 반복한다. 이 사장은 “농사짓고 사업하느라 결혼 시기도 놓쳤지만 그래도 요즘은 일하는 게 즐겁기만 하다”고 말했다. <끝>"
*기사 쓰는 과정을 글로 설명하기가 쉽지는 않다. 하지만 굳이 이렇게 하는 것은 첫째 나를 위해서다. 평소 생각해오던 이 프로세싱을 정리하면서 나름대로 기사쓰기를 터득하길 바라고 있다. 일단 적어두고 점차 첨언하거나 수정하겠다.
'기사 쓰기 연구 > #연구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고 빠르게 기사 쓰는 방법 9] 설명기사에 대한 세부 분석 (0) | 2016.04.02 |
---|---|
'이런 일이 벌어졌다' 기사 쉽게 쓰는 법 (0) | 2013.06.17 |
칼럼 어떻게 쓰나 (연구중) (0) | 2013.05.12 |
<거침없이 쓸 수 있는 기사작성 비법1>-'이런 행사가 열린다' 기사에 적용 (0) | 2013.04.26 |
뉴스 기사 패턴중 '이런 행사가 열리고 있다'의 유형 (0) | 2013.01.30 |